본문 바로가기

Backend32

AWS EC2로 배포하기 (feat. WSL) 백엔드 환경 : node.js 개발 희망 분야인 Spring은 다음에 해보는걸로...몰입캠프 마지막 주차때 백엔드 배포까지 하고 CI/CD 성공하고 연결까지 하고 싶었는데 안타깝게,,결국 로컬로 연결해서 아쉽기에 끝나고나서 팀원에게 서버 배포하겠다고 허락을 맡고 더 디벨럽하기로 결정!! 혼자 해결해나가면서 기록 남기기용이라 깔끔하지 못한점.. 다음 게시글엔 더 깔끔하게 (+ 부족한 공부 해야함)  백엔드 API 코드를 배포하기 위해서 CI/CD를 구축하고자 했으나(yaml 파일 작성하고 뭔가했는데 프로젝트와 연동이 안되어 있어) ssh에 접근했을 때 아무것도 안 떠서 다시 시작!!  우분투 (Linux)를 보통 쓰기 때문에 나는 WSL를 설치하고 사용했다.  (윈도우 유저이기 때문) 그런데 WSL을 처음.. 2025. 3. 2.
JPA 네이밍으로 인해 이상한 테이블 명 @Table(name="")으로 고치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1. 27.
Database 정리 (SQL, NoSQL, 종류 등)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0. 29.
[경험담 기록] CI/CD의 필요성, 추후 AWS 학습출처기록 한 연합사이드 동아리에서 2번의 활동을 해서 2개의 사이드프로젝트에 참여를 했다.  처음에는 경험많은 서버팀장님 덕분에 당시 프로젝트에서 나는 내가 맡은 API만 잘 돌아가게 코드를 짰다. 개발 시작할 때부터 이미 develop 브랜치에 머지를 하면 배포가 되었던 상황이었다. 그 당시에는 자동화가 왜 필요한지 몰랐고 스프링을 처음 제대로 써보는 입문 상태였어서 코드 짜기에만 급급했던거 같다. 깃허브 액션이 돌아가는 것도 그때 처음보고 서버가 터지면 AWS에 들어가서 CPU 용량이 한계여서 문제가 났는지, 구글링으로 ssh에 들어가보고 로그 보고 엄청 팠다가 build.gradle에 중복된 라이브러리 언급이 있어서 문제가 있음을 알게되었다. 진짜 겉핥기 그 자체였다.  그러고 나서 두번째 플젝때 어쩌다보니.. 2024. 9. 3.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27.
4주차 ERD 설계 및 RDS 만들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