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Linux

Linux(1) 유닉스 기본 명령어

by 희디 2021. 9. 12.

<이론>

 

# 기본 명령어

1) 날짜 및 시간 확인 

 $ date (현재의 날짜 시간)

 

2) 시스템 정보 확인 

$ hostname

$ uname

$ uname -a 

 

 

3) 사용자 정보 확인 

$ whoami

-> lee

 

$ who

-> brain pts/5 2017-07-12 13:46 (203.153.155.35)

(사용자 이름과 접속 IP주소)

 

4) 디렉터리 내용확인

$ls

 

5) 패스워드 변경

$ passwd

->  passwd: 가 뜨면서 기존 암호와 새 암호 입력 요구

 

6) 화면 정리

$clear

 

7) 온라인 메뉴얼: man

$ man ls 

-> 관련 명령어의 뜻, 사용법 설명 

 

8) 명령어에 대한 간단 설명

$whatis ls

-> 경로의 내용 출력 

 

# 파일 및 디렉터리 

1) 파일의 종류

 

→ 일반파일

→ 디렉터리/폴더

→ 장치 파일

→ 심볼릭 링크 파일 

 

2) 디렉터리 계층구조 

: 루트로부터 시작하여 트리 형태의 계층구조 

출처: 강의자료

3) 홈 디렉터리 :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작업 시작

~ : 홈 디렉터리

: 현재 디렉토리

..  : 부모 디렉터리 

 

4) 경로명

- 절대경로명 : 루트 디렉터리로부터 시작하여 경로 이름을 정확하게 적는 것

- 상대 경로명 : 현재 작업 디렉터리부터 시작해서 경로 이름을 적는 것

ex) cs1.txt의 경로

절대 경로: /home/chang/test/cs1.txt

상대 경로: cs2.txt

# 디렉터리 명령어 기초 

1) 현재 작업 디렉터리 출력: pwd(print working directory)

: $pwd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명을 출력

 

2) 디렉터리 이동 : cd(change directory) 

$cd :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지정된 디렉터리로 이동

 

3) 명령어 경로 확인 :which

$which 명령어 - 절대경로 보여줌 

 

# 디렉터리 리스트

지정된 디렉터리의 내용을 리스트한다. 

$ls[-aslFR] 디렉터리 파일

$dir [-aslFR] 디렉터리 파일

ls 명령어 옵션 (ls -명령어옵션)

옵션 기능
-a  / all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리스트한다.
-s  / size 파일의 크기를 K 바이트 단위로 출력한다
-l  / long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
(파일 이름, 파일 종류, 접근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 시간)
-F  / File 파일의 종류를 표시하여 출력(기호로)
* : 실행파일, /: 디렉터리, @:심볼릭 링크
-R  / Recursive 모든 하위 디렉터리들을 리스트
+) ls-R/ (루트 하위)

 ls -asl처럼 합쳐서 처리 가능 

 

# 디렉터리 생성: mkdir(make dir)

 

1) $mkdir 디렉터리 : 디렉터리 새로 만든다. 

  ex) $ mkdir test temp => 파일 생성됨 

 

2) 중간 디렉터리 자동 생성 옵션

-p : 필요한 경우, 중간 디렉터리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ex) $ mkdir –p ~/dest/dir1

 

3) 디렉터리 삭제 : rmdir(remove dir)

$ rmdir 디렉터리 // 빈 디렉토리만 삭제 가능 

 

# 파일 내용 출력 

1) 파일 내용 그대로 화면에 출력

$ 파일명 [-n] 파일(확장자는 예로 들자면 txt)* // [-n]은 줄번호 표시 

 

2) 페이지 단위로 파일 내용보기

$ more 파일

: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화면에 출력 

 

3) 파일 앞부분 보기 

$ head [-n] 파일

 

4) 파일 뒷부분 보기

$ tail [-n] 파일

 

5) 단어 세기: wc(word count) 

$ wc [-lwc] 파일


 

<실습>

 

1) 실습 디렉터리 만들기 

home 디렉터리에 linux 디렉터리 생성 

2) 경로 확인하기 

3) ch03 서브디렉터리 만들고 이동하여 경로 확인하기

- 이동하는 방법 : cd 해당디렉터리 

4) 파일 만들고 확인하기

$ gedit 파일명 -> 파일창이 뜨면서 내용 입력 -> 창을 닫아야 터미널에서 입력창이 이어서 뜸 

$ cat > 파일이름 

: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든다. 표준입력 내용 모두 파일에 저장 

: 이때 터미널에서 입력한 수는 enter를 누를 때마다 해당 파일에 저장 

: 끝내기 위해서 마지막 글을 쓰고 enter를 누른 후, ctrl+D를 눌러 끝낸다. 

doc2는 ctrl+D 안 눌러서 계속 입력커서가 뜸                                doc4는 ctrl+D로 입력과정을 끝내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게 됨 

파일 만들고 확인하기 

-- 띄어쓰기도 중요하니 뺴먹지 않는다. --

 

5) 부모 디렉터리로 이동하면서 경로 확인하기 

 

6) /etc/services 파일을 살펴보기 

$ ls –sl /etc/services : 파일 확인

$ cat /etc/services : 파일 내용 출력 

 

7) 옵션(-n) 사용해서 파일 내용 출력

cat -n : 비어있는 행에도 라인 번호 출력 // cat -b : 비어있는 행에는 라인 번호 출력 안함
head / tail 부분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BASH 스크립트  (0) 2021.11.15
(5) 유틸리티  (0) 2021.11.15
Linux(5) 파일 유틸리티  (0) 2021.10.04